들어는 봤나요 인터넷 EDI란 무엇인지 EDI는 인터넷을 통신 수단으로 하는 전자 데이터 교환(전자화된 비즈니스 문서의 교환을 말합니다. EDI는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의 약어이기도 합니다. 기존 EDI는 통신수단에 전용선이나 VAN(부가가치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도입과 운용비용이 컸지만 인터넷을 이용하면 비용을 절감하고 거래를 해외로 확대할 수 있는 이점도 생깁니다. 도입이 어려웠던 중소기업에서도 운용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VAN나 전용선에 비하면, 데이터의 도착에 시차그를 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납기에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거래나, 소량의 데이터 교환에 사용되는 것이 많습니다. 인터넷 EDI의 소프트웨어는 EDI 메시지의 교신에 Web, FTP..
인터프리터란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결론에 가까운 단어뜻부터 알아보면, 인터프리터란 통역사를 의미합니다. 컴퓨터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구요. 소스 코드를 1명령씩 해석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가리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진 소스코드를 기계어 프로그램(오브젝트 프로그램)으로 해석 변환하면서 처리 실행합니다.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베이직(BASIC), Lisp,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Python, Ruby 등이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1명령씩 변환해 실행하기 때문에, 움직임을 확인하면서 코드를 기술하거나 에러가 발생한 부분을 곧바로 특정하거나 할 수 있습니다. 또, 프로그램 실행시에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구조만 있으면, 어느 플랫폼에서도 동작한다.반면 한 줄만..
인스타그램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Instagram을 잘 모르는 분들은 없을 겁니다. 페이스북과 함께 sns의 양대산맥이죠. 2010년에 서비스를 개시한 SNS(소셜네트워킹서비스)의 하나입니다. iPhone나 Android 스마트폰등의 앱으로, 복수의 사진 가공 기능을 사용해 촬영한 화상을 간편하게 가공할 수 있어 곧바로 투고·공유할 수 있는 곳이 인기를 끌었는데요. 2012년 4월에는 Android 2.2 이후의 카메라를 탑재한 단말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그 후, Facebook에 10억 달러( 약 810억엔)로 매수되어 화제를 불렀습니다. 당시의 Instagram의 이용자수는 5,000만명 정도입니다. 10억 달러라고 하는 매수액은 너무 높은 것은 아닌가라고 말했지만, 2014년 12월에는 월간 액티브..
인젝션 공격이란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인젝션 공격 들어보신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계열이 아니라면 모르는 분들도 계실 거구요. 데이터베이스나 프로그램의 취약성을 이용한 사이버 공격이나 부정 액세스의 총칭.인젝션 어택(Injection attack) 또는 코드 인젝션(Code injection)으로도 불리는데요. 악의가 있는 공격자는, 무효인 데이터(버그) 등 취약성이 높은 프로그램에 소스코드를 주입해 부정한 명령을 실행해, 프로그램을 개변합니다. 인젝션 공격의 기술은 정보 취득을 위한 해킹(크래킹)이나 시스템으로의 부정 액세스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공격이 성공하면 데이터의 손실·개변을 비롯해 웜의 증식, 정보보안의 결여, DoS 공격(서비스의 방해), 기밀정보 누설, 호스트나 시스템의 탈취..